알바 주휴수당 조건 총정리! 주 15시간 기준, 하루 더 일하면 받을 수 있을까?
알바를 하며 월급 외에 꼭 챙겨야 할 돈이 바로 ‘주휴수당’입니다.
하지만 주휴수당 조건을 정확히 몰라 제대로 못 받는 경우가 많은데요.
“계약서에 주휴수당이 명시돼 있지 않아도 받을 수 있을까?”
“주 15시간만 채우면 되는 걸까?”
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주휴수당의 지급 조건과 놓치기 쉬운 팁까지
알바생이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정보를 정리해드립니다!

주휴수당이란?
주휴수당은 1주 동안 정해진 근로시간을 성실히 채운 근로자에게 유급으로 지급되는 하루치 임금입니다.
✔ 일주일 개근 시 추가로 하루치 임금을 더 지급
✔ 근로계약서에 명시되지 않아도 법적으로 지급 대상
✔ 일용직, 단기 알바도 요건만 충족하면 받을 수 있음
1. 주휴수당 지급 조건은?
가장 중요한 기준은 ‘15시간’입니다.
✔ 1주 15시간 이상 근무
✔ 소정근로일(계약된 날짜)에 모두 출근
✔ 근로계약서 작성 여부와 관계없이 지급 대상
예: 주 3일 X 하루 5시간 = 총 15시간 → 주휴수당 발생
예: 주 4일 X 하루 3시간 = 총 12시간 → 주휴수당 미발생
2. 근무 시간 부족 시, 하루 더 일하면 받을 수 있을까?
그렇습니다!
처음에는 주 12시간만 일했다 하더라도, 중간에 하루 더 근무해 주 15시간 이상이 되었다면
그 주부터는 주휴수당 지급 요건을 충족합니다.
✔ 계약서에 없어도, 실제 근무 시간이 기준
✔ 1시간 차이로 못 받는 사례 많으니 시간 체크 필수
3. 주휴수당은 얼마 받을 수 있나?
주휴수당은 통상임금 기준 하루치 급여를 뜻합니다.
✔ 시급 X 일일 근로시간 = 주휴수당
✔ 예: 시급 9,860원, 하루 5시간 → 주휴수당 약 49,300원
매주 지급되는 게 아니라, 급여일에 포함되어 지급됩니다.
4. 계약서에 주휴수당 항목이 없다면?
문제 없습니다.
근로기준법에 명시된 항목이므로 계약서 유무와 무관하게 지급 의무가 발생합니다.
✔ 계약서 미작성 시에도 지급 대상
✔ 사업주가 고의로 지급하지 않을 경우 신고 가능
5. 주휴수당 놓치지 않기 위한 팁!
✔ 주 15시간 이상 근무 계획 세우기
✔ 출근 시간과 날짜를 정확히 기록하기
✔ 급여명세서에 주휴수당 포함 여부 확인
✔ 지급 누락 시 노동청 또는 고용노동부 상담 이용
결론: 주휴수당은 ‘근로자의 권리’, 꼭 챙기세요!
주휴수당은 사업장이 임의로 줄 수 있는 ‘보너스’가 아니라 법적으로 정해진 의무입니다.
주 15시간 이상 일하고 성실히 근무했다면, 당당히 주휴수당을 요구할 수 있어요.
단 하루라도 추가 근무로 15시간을 넘긴다면 그 주부터는 반드시 지급 대상이니,
주휴수당 계산 꼼꼼히 하고 누락 없이 챙기세요!
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계약서에 주휴수당 항목이 없으면 못 받는 건가요?
A1. 아닙니다. 법에 따라 지급되는 항목이라 계약서에 없어도 받을 수 있습니다.
Q2. 주 14시간 일했는데 하루 더 일해 15시간 되면 받을 수 있나요?
A2. 네. 주 15시간 이상이 되는 순간부터 주휴수당 대상입니다.
Q3. 사업주가 주휴수당 안 준다고 하면 어떻게 하나요?
A3. 고용노동부 민원 신청 또는 노동청에 신고가 가능합니다.
Q4. 단기간 알바도 주휴수당 받을 수 있나요?
A4. 네. 1주 기준으로 조건을 충족하면 지급됩니다.
댓글